Quantcast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염료감응 태양전지 제2막 열린다… 新전극물질 개발!

태양빛을 이용해서 식물이 광합성을 하듯이 전기를 생산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새로운 전극물질이 개발됐다. 그래핀 기반의 이 물질은 고가의 백금 촉매보다 훨씬 저렴하면서도 안정성은 월등히 뛰어나 학계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백종범 교수팀은 그래핀에 ‘셀레늄(Se)’ 원소가 도입된 새로운 그래핀(SeGnP)을...

View Article


DNA 상해 복구 과정 타깃하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

개개인의 유전 정보의 차이에 기초해 치료를 하려는 의생물학 분야의 맞춤형 의학(Personalized medicine) 혹은 정밀 의학(Precision medicine)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지난 몇 달에 걸쳐 이야기 해 봤다. 이번 달에는 이러한 노력이 어떻게 진행되어지고 있는지 예를 통해 살펴보고, 미래에 펼쳐질 치료 방법의 혁신에...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Xin Chao! UNIST에 정착한 생명과학부 타오 응우옌

열다섯 살에 고향 베트남을 떠나 한국 고등학교에 입학한 타오 응우옌(Thao Nguyen). 좀 더 수준 높은 과학기술을 배우기 위해 혈혈단신 한국 유학을 택한 그녀는 2015년 UNIST에 입학했다. 그리고 3D 프린터 디자이너라는 꿈을 위해 쉼 없이 달리고 있다. 공부는 물론 시각장애 멘토링 봉사활동까지 참여하며 즐거운 한국 생활을 이어나가는 그녀의...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오늘은 연구자 아닌 연주자로서 무대에 섭니다”

UNIST를 대표하는 오케스트라 ‘유니스트라(UNISTra)’가 울산혜인학교(중구 약사동 소재)의 장애 학생 200여명을 위한 재능 기부 공연을 가졌다.   22일(수) 오전 10시 30분 이종은 교수(기초과정부)와 재학생 20여명으로 구성된 ‘유니스트라’는 울산혜인학교 혜인관(체육관)에서 클래식의 아름다운 선율을 연주했다.   이날 공연에는 비발디의 사계...

View Article

UNIST, 동북아 오일 허브 성공 이끌 전문 인력 양성 탄력

UNIST(울산과기원, 총장 정무영)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의 ‘에너지인력양성사업’에 선정됐다. 5년간 최대 30억의 사업비를 확보해 동북아 오일 허브 사업의 핵심 과제인 에너지 트레이딩 인력 양성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에너지 트레이딩 인력은 석유, 가스와 같은 에너지원에 대한 리스크 관리, 차익거래 실현 등을 위해 금융 거래를 하는 전문...

View Article


한승헌 전 감사원장, UNIST 교직원 대상 청렴 특강 가져

한승헌 전 감사원장이 UNIST 교원과 직원들을 대상으로 청렴 특강을 가졌다.   이번 청렴 특강은  21일(화) 오전 11시 직원들 대상으로 UNIST 대학본부 6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됐고, 교원 대상 청렴 특강은 이날 오후 4시 교원 워크숍이 열리는 거제 대명리조트에서 개최됐다.   한승헌 전 감사원장은 이날  UNIST 교직원들에게 공정한 업무수행을 통한...

View Article

조윤성 게놈연구소 부소장, JTBC ‘썰전’출연해 UNIST 게놈 연구 역량 드러내

조윤성 게놈연구소 부소장(생명과학부)이 JTBC의 이슈 리뷰 토크쇼 ‘썰전’에 출연했다.   조 연구원은 ‘썰전’ 2부의 경제 이슈 코너 ‘썰쩐’에서 100세 시대에 발 맞춰 유전자 산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패널들과 이야기 나누었다.   처음에는 게놈연구소의 박종화 소장(생명과학부)이 섭외 받았으나 끼 넘치는 조 부소장이 박 소장의 추천을 받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시시각각 변하는 환율·집값·주식, AI로 예측한다

시시각각 달라지는 주식시세나 집값, 환율 등의 흐름을 분석해 자동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최재식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다양한 변수들에서 공통적인 변화를 자동으로 뽑아내 보고하는 ‘관계형 자동 통계학자 시스템’을 개발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다양한 변수의 기록을 ‘다중 시계열 데이터’라고 하는데,...

View Article


불황기, 울산형 주거취약계층 지원 프로그램 발굴 필요

의식주는 인간 생활의 세 가지 기본요소다. 196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경험했고, 국제사회에서 선진국의 기준이 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했으며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를 눈앞에 두고 있는 한국에서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는 해결됐다고 쉽게 말하곤 한다. 하지만 입고 먹는 문제는 상당부분 해소가 되었음에도 주거는 여전히 서민들에게 가장 큰...

View Article


잉크젯 프린터로 인쇄하면 ‘플렉서블 배터리’ 완성!

잉크젯 프린터로 배터리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종이 위에 출력한 글씨나 그림 자체가 전원이 되는 최초의 사례다. 이 기술의 등장으로 딱딱한 형태에서 벗어난 유연하고 다양한 배터리 디자인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등장할 입는 전자기기는 물론 각종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s) 기기에도 크게 활용될 전망이다. 이상영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View Article

정무영 총장, 국내대학 총장 중 유일하게 하계 다보스포럼 참석

정무영 UNIST(울산과기원) 총장이 국내대학 총장으로는 유일하게 ‘2016 세계경제포럼 하계대회(이하 하계 다보스 포럼)’에 참석했다.   이번 ‘하계 다보스포럼’은 26일(일)부터 28일(화)까지 중국 텐진에서 개최됐다.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개최된 이번 포럼에는 황교안 국무총리, 리커창 중국 총리 등 90여 개국 정부인사, CEO, 학자 등 약...

View Article

UNIST, 시민 초청 울산과기원 출범 설명회 27일(월) 개최

UNIST는 27일(월) 오전 11시 동구민 160여명을 초청해 ‘울산과기원 출범 설명회’를 개최했다. UNIST는 울산시민의 관심과 성원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지역과의 협력 방안을 시민들에게 직접 알리기 위해 이번 설명회를 마련했다. 이날 행사는 연구지원본부(UCRF) 및 역사관 등 교내 시설 투어 후 과기원 출범 설명회 순서로 진행됐다. 설명회에는...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 동화약품과 손잡고 새로운 치매 치료제 개발 박차

UNIST와 제약회사 동화약품(회장 윤도준)이 알츠하이머 성 치매를 극복할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함께 나선다.   UNIST와 동화약품은 29일(수) 오전 11시 30분 UNIST 대학본부 6층 대회의실에서 치매 치료제 산업 육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치매의 60% 이상은 알츠하이머 질환으로 발병한다. 특정 단백질이 뇌에 쌓여 뇌 기능의 저하를...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안전 도시 울산, UNIST가 보유한 재난 대응 기술로 책임집니다!

UNIST가 개발 중인 재난 대응 로봇과 재난 감시 드론이 ‘정부3.0 국민체험마당’의 울산 홍보 부스에 설치되어 공개됐다.   ‘정부3.0 국민체험마당’은 정부3.0 추진 4년차를 맞아 그간의 성과와 미래 모습을 종합적으로 소개하고 국민공감대를 확산시키기 위해 행자부에서 주관해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약 7만 명의 국민들이 방문하여 각 지자체의 대표적인...

View Article

UNIST 최고경영자과정 수료식 29일(수) 개최

UNIST 최고경영자과정(Advanced Management Program, 이하 AMP) 수료식이 29일(수) 오후 5시 30분 경동홀에서 개최됐다.   이번 수료식은 서재석 경남은행 울산본부장, 정복금 시의원(북구) 등 AMP 3기 32명이 참석한 가운데  수료증과 상패 수여, 총장과의 대화 순서 등으로 진행됐다.   이강수(지산정보통신(주) 대표)...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국가대표 과학자 김광수 교수 근원을 탐구하다

한 분야에 10년 이상 몰두하면 전문가가 되고, 20년 이상 몰두하면 장인이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올해로 과학자의 길을 걸은 지 만 30년이 되는 김광수 교수는 어떨까? 원자에서 분자로, 그리고 분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삼라만상과 인간의 인지에 관한 근원을 탐구하는 국가대표 과학자의 이야기가 궁금하다. 여러 분야를 넘나들며 연구하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한...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더우면 붙고 차가우면 떨어진다”… 문어 빨판 접착판

문어 빨판처럼 표면에 착 달라붙는 ‘스마트 접착 패드’가 개발됐다. 외부 온도가 높으면 달라붙고, 온도가 낮으면 떨어지는 특성을 가졌다.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에 필요한 만큼 붙일 수 있는 고성능 스마트 접착 패드로 주목받고 있다. 고현협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과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김형준 박사팀은 문어 빨판의 구조와 접착 원리를 모사한...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정연우 DHE 교수팀, 2016 스파크 디자인 어워드 2관왕

비행기 프로펠러를 수상보트에 적용한 디자인 콘셉트, 비바람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우산을 기울이는 아이디어가 국제 디자인 대회에서 수상했다. 모두 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연구진이 개발한 성과물이다. 디자인 정연우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팀이 ‘2016 스파크 국제 디자인 어워드’의 디자인 콘셉트 파이널리스트(Finalist) 2관왕에 올랐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실패 두려워 말고 창업에 과감히 도전하길 바랍니다”

창업을 꿈꾸는 UNIST 학생들이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을 만나 창업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6일(수) 오전 10시 40분 UNIST를 방문해 ‘창업인재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과 이미 창업했거나 창업을 준비 중인 학생 등 100여명을 대상으로 ‘창업 토크 콘서트’를 가졌다.   이날 UNIST 학생 창업...

View Article

사회이슈와 기술의 우연한 만남 준비하기

올해 과학기술계의 최대이슈는 이세돌과 구글의 세기적인 바둑경기로, 이에 따라 국가적으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졌다. 또한 구글카 등으로 인해 자율주행과 스마트카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고 애플 워치 등으로 인해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투자도 확대되고 있다. 반면, 과거 친환경차로 주목받았던 디젤 관련 기술들은 디젤...

View Article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