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동물보호 소모임 두루두루, UNIST 새 사진전 개최

‘UNIST 새 사진전’이 오는 9월 9일(토)부터 17(일)까지 9일간 학술정보관 1층에서 열린다. UNIST 동물보호 소모임인 두루두루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조류 충돌 방지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조류 방지 충돌 프로젝트’는 새들이 교내 건물 유리창 등에 부딪혀 죽거나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충돌 방지 스티커를 부착하는...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원하는 길 따라 굴러가는 ‘트라젝토이드’

땅의 형태가 아닌 자신의 모양에 따라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새로운 입체 도형이 개발됐다.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단장 대행 연구팀은 입체 도형에 ‘가야 할 길’을 학습시킬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렇게 만든 도형을 ‘트라젝토이드’라고 명명했다. 연구결과는 8월 10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노화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개발했다!

노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노인성 질환 치료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과 건국대학교 정혜원 교수팀은 노화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안에 인공단백질을 형성해 노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개발된 기술은 노화세포 막에 과발현된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표적할...

View Article

[박종화의 게놈이야기(25)] 게놈은 생명현상 본질을 보여주는 아름다운 창문

박사 3년을 마치는 동안에도 생정보학 (Bioinformatics)이라는 말을 쓰는 사람이 별로 없었다. 그래서 생정보학을 한다고 하면 같은 연구소사람 또는 케임브리지대 친구들을 비롯해 내가 아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것이 무엇이냐고 되물었다. 나는 설명을 해주면서 종종 생정보학이 생물학에서 가장 중요한 학문이 될 것이며 나중에는 생물학과 같은 것으로 인식되는...

View Article

코 사진 찍어 반려견 등록.. UNIST 학생기업이 국제표준 만들었다!

UNIST 학생창업기업 파이리코가 ‘코 주름’(비문) 기반 반려동물 개체식별 기술의 국제 표준을 만들었다. 간편한 비문 인식 기술로 전 세계 어디서든 반려동물을 등록하고 신원인증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UNIST(총장 이용훈)는 파이리코가 개발한 ‘다중 바이오인식 기반 반려동물 개체식별 기술 표준’이 지난 8일 열린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UN 산하...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산수바보 챗GPT 똑똑하게 만드는 기술’.. 금융AI경진대회 대상 수상

‘산수’에 약한 챗GPT와 같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약점을 보완한 솔루션이 금융AI 경진대회에서 수상했다. UNIST 컴퓨터공학과 2학년 류병우 학생이(지도교수: 김미정) 제5회 퓨쳐파이낸스AI챌린지(Future Finance A.I. Challenge)대회에서 대상인 금융감독원장상을 받았다. 국민은행이 주최하는 이 대회는 금융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시민 안전 지키는 ‘카멜레온 풍선’, IDEA 디자인어워드 동상

카멜레온처럼 색상이 변하는 재난경보 풍선이 세계 3대 디자인 대회에서 수상했다. 첨단 변색 소재 기술과 시민의 안전을 생각하는 디자인이 만들어낸 성과다. UNIST(총장 이용훈)는 디자인학과 김차중 교수팀이 IDEA 디자인 어워드에서 동상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미국 산업디자인협회에서 주관하는 IDEA 디자인 어워드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iF디자인...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 탄소중립 심포지움 2023’ 개최

환경과학, 정책, 기업경영 전문가들이 한자리에서 모여 탄소중립 시대의 위기와 기회를 논의한다. UNIST(총장 이용훈)는 18일 대학본부 대강당에서 ‘UNIST 탄소중립 심포지움 2023’을 개최한다. 탄소중립의 현 주소를 진단하고,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심포지움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심포지움은 총 3개의...

View Article


전기전자공학과 권지민 교수,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 선정

전기전자공학과 권지민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3년도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이번 사업 선정에 따라 권 교수는 오는 27년까지 정부지원금 22.5억원을 포함한 25.5억 원을 지원받아 첨단 반도체 패키징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반도체 후공정인 패키징은 반도체 칩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열이나 불순물 등으로부터...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울산을 벤처 허브로”…‘UNISTXATP 유니콘 슈팅 데이’ 개최

유니콘기업을 꿈꾸는 울산 지역 벤처 기업이 예비투자자들과 만난다. UNIST기술지주와 ATP벤처스가 주최하는 ‘UNISTXATP 유니콘 슈팅 데이(Unicorn Shooting Day)’를 통해서다. ‘UNISTXATP 유니콘 슈팅 데이(Unicorn Shooting Day)’가 21일(목) 오후 2시 UNIST 산학협력관(251동) 마켓홀에서 개최됐다....

View Article

[기고] 첨단 바이오 경쟁력과 학제간 협력

첨단 바이오에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인구 노령화와 맞물려 그렇고 미래 먹거리 확보 측면에서도 그러하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첨단 바이오 기술과 산업의 중요성을 우리 모두 몸으로 체험하고 지켜봤다.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 듯 정부와 민간 모두 혁신 경쟁이 치열하다. 과거 우리나라 제약산업은 선진국에서 특허 만료된 좋은 약을 싸고 빠르게 도입해...

View Article

[박종화의 게놈이야기(26)] 하버드 의대 유전학과-생물학 연구의 천국

조지 처치랩은 하버드에서 가장 친근한(Friendly) 랩이라고 소문이 나있었고, 가장 가고 싶은 랩이라는 것이 그 당시 학생들 사이의 의견이었다. 하버드에서 거의 독보적으로 생정보학을 하고, 게놈 연구와 바이오칩을 하는 곳이었다. 내가 갔을 당시에 처치랩은 하버드 의대의 본대학 건물에 있었다. 하버드 의대는 실제로 인적 규모가 크지 않다. 그러나 그 주위의...

View Article

[최진숙의 문화모퉁이(5)]수학여행의 추억

고등학교 때 갔던 수학여행을 돌아본다. 교실과 집에서 벗어나 친구들과 밤을 새우는 것도 좋았지만, 무엇보다도 평소 어렵고 무서웠던 선생님들을 놀려먹는 재미가 몇십 년이 지나도 남는 추억이다. 수학여행 중 열린 장기 자랑 시간에는 재능있는 학생들의 노래, 춤, 연극 등 많은 장르의 연행이 있었다. 그 중 가장 재미있었던 것 중 하나는 ‘호랑이’라는 별명을 가진...

View Article


[조원경의 돈의 세계] 해피 드러그와 말라리아

선진국형 질환은 돈이 된다. 비만과 당뇨를 앞세워 미국과 유럽 증시에 큰 변화가 왔다. 관련 제품을 판매하는 제약사 일라이릴리는 세계 시가총액 10위 기업이 되었다. 같은 계열 덴마크 회사인 노보 노디스크도 루이뷔통을 제치고 유럽 시총 1위에 올랐다. 두 회사의 비만과 당뇨 제품은 선진국형 질환 치료제다. 삶의 질을 높이는 ‘해피드러그(Happy...

View Article

[에너지칼럼] 수소경제 열쇠, 암모니아의 친환경 딜레마

암모니아(NH3)는 질소에 수소가 저장된 형태의 화합물로, 차세대 수소경제의 생산-저장-운송-활용 밸류체인에서 저장과 운송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먼저, 암모니아는 수소의 대용량 저장 및 안전한 장거리 운송을 위한 효율적인 수소 에너지 저장 및 운송체로, 수소를 액체나 고체 상태로 변환해 다루기 용이하게 해주며, 높은 부피당 저장 용량으로...

View Article


[전문가기고]왜 연구중심대학인가?

바야흐로 기술 패권의 시대다. 인공지능, 반도체, 바이오, 양자, 우주 등 첨단기술이 곧 안보인 시대에 과학기술이 국가의 역량을 좌우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학기술은 최근 몇 년간 국가적 아젠다로 자리 잡았다. 2016년 알파고 쇼크 이후의 인공지능, 2019년 무역 갈등으로 인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가 그랬다. 2020년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View Article

제1회 스마트 해상물류 유니콘테스트 데모데이 개최

UNIST와 울산항만공사가 주관한 ‘2023년 스마트 해상물류 유니콘테스트’의 데모데이가 지난 9월 18일(월)~19일(화) 양일간 부산 해운대 파라다이스 파노라마룸에서 열렸다. 이번 데모데이는‘2023년 스마트 해상물류 유니콘테스트’의 중간 점검을 위해 마련된 행사다. ㈜에이치에이치에스, ㈜와이오엘, ㈜로비고스, 해양드론기술, 수디벨로퍼스(주),...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최신 인공지능 기술 한자리에’.. 인공지능 학술대회 개최

해외석학과 네이버, LG 등 기업체 AI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였다. ‘인공지능기술 공개 워크숍(2023 UNIST AI Technology Open Workshop)’ 9월 21일(목) UNIST 대학본부 대강당에서 열렸다. 국·내외 인공지능 전문가와 UNIST 교수 등 총 9명이 참여해 최신 인공지능 기술 동향과 UNIST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기 위해...

View Article

UNIST·울산시,‘글로벌 제조혁신 포럼’개최.. 참가자 모집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제조혁신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는 포럼이 울산에서 열린다. UNIST와 울산광역시가 오는 10월 5일(목)에 ‘글로벌 제조혁신 포럼 2023’을 개최한다. UNIST 산학융합캠퍼스에서 열리는 이번 포럼에는 MIT, 카네기 멜런대, 싱가포르 난양공대 등의 글로벌 석학과 현대자동차, HD현대 등 기업체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한다. 이번 포럼은...

View Article

UNIST-서울시립대 학술교류 강화 나선다!

UNIST(총장 이용훈)와 서울시립대학교(총장 원용걸)가 교육·연구 분야에서 상호 협력에 나섰다. 양 대학은 22일(금) 오후 1시 30분에 UNIST 대학본부 6층 대회의실에서 ‘학술교류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교원 · 연구인력 교류, 학생교류 및 상호학점 인정, 공동연구 및 학술대회 공동개최, 창업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View Article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