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똑똑하게 쓰는법! UNIST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 마련
UNIST는 교육혁신 TF 주도하에 지난 7월 28일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를 발표했다.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사용을 무분별하게 막기 보다는 이를 교육·연구 현장에서 효과적이고 올바르게 사용할 있는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50여쪽 분량의 이 가이드라인에는 교원, 연구원, 학생들 위한 생성형 AI 활용 예시가 구체적으로 담겨 있다....
View Article58.5cm2의 고효율·대면적 유기 태양전지 개발
큰 면적에서도 높은 효율을 내는 유기 태양전지가 개발됐다.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는 유기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예정이다. UNIST(총장 이용훈) 화학과 김봉수 교수팀은 KIST(원장 윤석진)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센터 손해정 박사팀과 공동으로 고효율의 대면적 유기 태양전지 소재를 개발했다.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가 섞이는...
View ArticleUNIST·양산부산대병원 3D프린팅 의료기기 기술 개발 맞손
UNIST와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이 첨단 3D프린팅 의료기기 기술 연구개발을 위해서 손잡았다. UNIST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의료기기 사용적합성평가센터와 3D프린팅 기반 의료기기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3D프린팅 의료기기 연구개발, 국산 개발 기기의 제품화·사업화 지원 등 다방면에서 협력하게 된다....
View Article값싼 물질로 레독스 흐름 전지 시스템의 성능 향상시킨다
레독스 흐름 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가 연이어 발표됐다. 새로운 소재 개발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이현욱 교수팀과 KAIST 서동화 교수팀은 새로운 레독스 흐름 전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산화-환원하는 물질에 안정한 리간드를 붙여 레독스 흐름 전지 성능을 크게 개선했다. 연구팀이...
View Article[박종화의 게놈이야기(22)] 과학자는 경쟁하지 않고도 동기부여가 돼야 한다
내가 제안한 유전자의 반복에 관한 연구로 나는 논문을 쓰지 않았다. 왜냐하면, 싸이러스 초씨아의 제자로 있던 한 학생이 내 친구였었는데, 어느 날 우리 연구실에 놀러 왔고, 내가 하는 연구계획을 자세히 알려줬다. 그 뒤 3개월 동안 그가 잘 나타나지도 않아 이상했는데, 내 아이디어와 똑 같은 내용의 논문을 작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논문은 네이쳐 잡지에...
View Article2차원 물질 기반 고성능 p형 반도체 소자 개발
2차원 물질 기반 고성능 p형 반도체 소자 제작기술이 개발됐다. 초미세화 기술이 적용될 차세대 상보형 금속산화 반도체(CMOS) 산업에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반도체 소재·부품 대학원 및 신소재공학과 권순용 교수팀은 UNIST 이종훈 교수팀과 몰리브덴 텔루륨화 화합물반도체(MoTe2)를 이용한 고성능의 p형...
View Article[조재원의 에코 사이언스] 대중이 진정한 의미의 과학자
개념과 아이디어를 창조해 내고 마는 ‘마음의 상태’를 과학이라고 아인슈타인은 정의했다. 과학을 마음의 상태로 이해한 것은 의외지만 혜안이 고맙기만 하다. 전문가의 과학만 과학이라 치부되는 시대라서 더욱 그렇다. 아인슈타인 이전에도 과학은 있었으니 존재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이 과학이다. ‘존재의 기원’을 수학이, ‘존재의 본질’을 철학이 담당하는 것과...
View Article[조원경의 돈의 세계] 안전마진과 금융시장
내기 골프를 하는데 첫 샷이 페어웨이에 안착했다고 생각해 보자. 페어웨이는 안전지대고 다음 샷을 잘 치면 승부에서 이길 확률이 높아진다. 영어에서 마진은 이윤이나 가장자리를 뜻한다. 페어웨이에 공이 있으면 가장자리를 벗어나지 않고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회계학에서 안전마진은 원가(본질가치)와 판매가(시장가치)의 차이다. 기회비용을 고려한 최소한의 만족할...
View Article[비즈니스 인사이트] 중국 경제의 위기를 바라보는 ‘관찰자’의 눈
중국 부채위기가 글로벌 경제를 짓누르고 있다는 논쟁이 경제 이슈의 화두다. 중국 정부는 자신의 경제는 강한데 오히려 서방이 위기를 과장한다고 응대했다. 몇 가지 근거는 있다. 5%대의 성장률, 중국 경제 성장에 대한 높은 내수 기여율(110.8%), 전기차·리튬배터리·태양광전지 같은 주력 제품의 수출 증가(61.6%) 등이다. 중국 위기론은 처음이 아니다....
View Article[박종화의 게놈이야기(23)] 기름기가 더 많은 고세균 단백질
1995년부터 박테리아(세균) 게놈이 완전 해독돼 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세균이 아닌 고세균의 게놈도 해독이 됐다. 이것도 역시 크레이그 벤터그룹이 한 것으로, 끓는 수준의 고온에서 사는 고세균인 메싸노코커서 자나씨아이(MJ)를 해독한 것이었다. 이 게놈도 역사상 중요한 것이다. 내 친구 알렉스 베이트만과 이 세균의 게놈을 일반 세균의 게놈과 비교를 했다....
View Article인간의 위점막 모사해 헬리코박터균 방어시스템 발견했다
인간의 위점막 시스템을 모사한 생체칩이 개발됐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상황을 재현해 위암을 비롯한 각종 위장 질환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의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영태) 공성호 교수 연구팀은 오가노이드(Organoid)와 생체칩(Organ-on-a-chip)기술을 접목해 실제...
View Article실리콘 음극재의 끝판왕은 어떤 물질일까?
상용화된 전지에 적용 가능한 실리콘 음극재를 평가할 수 있는 분석 프로토콜이 제시됐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조재필 특훈교수팀은 ‘Nature Energy’에 리뷰 논문을 실었다. 이차전지 소재로 가장 주목받는 실리콘 음극 물질들이 상용화 전지에 사용되기 위해 확보해야 할 특성 및 문제점을 심도있게 분석했다. 실리콘 음극재는...
View Article생활관 새 단장!..2차 생활관 환경 개선 사업 완료
UNIST 생활관이 새 단장을 하고 2학기 학생들을 맞는다. UNIST 생활관은 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총 2개 동, 128세대, 384호실을 정비했다고 밝혔다. 이번 환경 개선 사업은 2010년 준공된 2차 생활관 304동, 305동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1총 13억원을 투입해 기존 2인실을 1인실 구조로 리모델링하고, 1인실 구조에 맞는 가구 등을...
View Article인공위성 대기질·산불 감시 연구 국·내외 학회 수상!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임정호 교수 연구실 소속 연구원들이 인공위성 기반 환경 모니터링 연구로 국내외 학회에서 수상했다. 주인공은 최현영 연구원(석박통합과정생)과 성태준 연구원(석박통합과정생)이다. 성태준 연구원은 2023 GeoAI데이터학회 춘계컨퍼런스에서 인공위성 산불 감시 알고리즘으로 학생우수논문발표상을 받았다. 인공위성은 적외선 열 감지 방식으로 산불...
View Article무시무시한 태풍, 분석의 실마리 풀렸다!
와류(Vortex)가 안정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수학적으로 밝혀졌다. 기상 예측 기술 등 기상이변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수리과학과 최규동 교수는 둥그런 공 모양의 와류가 안정적인 상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와류는 공기나 물로 이뤄진 유체 내부에 회전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영역이다....
View Article[UNIST 산책] 탄생, 죽음 그리고 재생까지… 울산의 이차전지 생애주기 사업
울산이 이차전지 생애주기 사업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기 시작했다. ‘생애주기’란 원래 사람의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전 과정에서 시간적 단계별로 발생하는 변화의 발달상태를 의미한다. 이차전지 생애주기가 사람처럼 관리 대상이 되는 것은 미래 산업에 있어서 대체 불가한 기술이 될 것이라는 판단과 배터리를 구성하고 있는 핵심광물 확보의 불확실성 때문이다. 울산시는...
View Article[경상시론]라이보 금리의 종말
대학에서는 새학기가 시작되었고, 필자 또한 긴 방학 끝에 다시 강단에 서게 되었다. 필자는 주로 금융과 관련된 강의를 하는데, 첫 날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미국 달러 라이보(LIBOR,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 금리의 산출 중단 때문이다. 라이보 금리는 런던 소재 은행들이 단기로 자금을 서로 차입하거나 대여할 때 적용하는...
View Article[박종화의 게놈이야기(24)] 게놈 박사 졸업논문
팀은 내가 존경하는 훌륭한 과학자이고, 지도교수였다. 그러나 과학자체에 대한 철학은 깊진 않았다. 나의 공동지도 교수인 싸이러스는 팀보다 나이도 더 많고 좀 더 생각이 많은 편이었다. 나의 학위 말년에는 싸이러스와 일을 더 많이 했다. 나의 논문은 5월초에 끝이 났고, 케임브리지대학에는 5~6월에 제출을 했다. 그리고 7월 4일 심사를 받았다. 2명의 분야...
View Article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 풀렸다!
비만에 의한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병을 조절하는 새로운 인자가 발견됐다. UNIST(총장 이용훈) 생명과학과 최장현 교수팀과 박성호 교수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와 동물(쥐)에서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관련 단백질인 Thrap3 단백질이 증가함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은 간에서 지방 대사의 핵심 조절 요소인 ‘아데노신 일인산 활성화 단백질...
View Article‘책 읽기 단짝’ 북토끼 .. 디자인 경진 대회 우승
UNIST 디자인학과 이희승 교수팀이 로봇 디자인 경진대회(Robot Design Competition)에서 우승을 차치했다. 이번 대회는 ‘IEEE 로봇-인간 상호 커뮤니케이션 국제학회(IEEE RO-MAN 2023)의 부대행사로 마련된 행사다. 이희승 교수팀은 ‘북 토끼(Book Toki)’ 로봇 디자인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북 토끼는 막 책 읽기는...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