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전문가기고] 세계를 이끄는 연구중심대학은 어디에 있나

이용훈 UNIST 총장 세계 연구중심대학의 역량을 평가하는 영국 THE의 최신 결과에서 상위 100개 대학 중 36개는 미국 대학이다. 영국 11개, 독일 8개로 뒤를 잇는다. 세 나라가 55개로 과반이다. 4위는 중국으로 7개, 한국은 3개로 공동 9위다. 노벨·필즈상 수상을 포함해 대학 연구력을 보는 ‘상하이 랭킹(ARWU)’에선 100대 대학 중 미국이...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울산시, 스타트업 미국 시장 진출 전략 세미나 개최

UNIST와 울산시가 12일(목) 산학협력관 마켓홀에서 창업 기업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국 시장 진출 전략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울산 내 기술 기반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지식 함양과 미국 시장 진출 전략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행사는 ‘2023 글로벌 성장·진출 창업 지원 프로그램’ 협력기관인 한국혁신센터 워싱턴 DC센터(KIC DC 센터)...

View Article


기술과 예술 경계 허문다!.. AI와 사람 공존하는 특별 체험전 개최

UNIST 교원창업기업 코어닷투데이가 19일(목) 개막하는 울산국제아트페어에서 현대예술 체험 특별전을 연다. 이번 체험 특별전에서 ‘인간 VS 인공지능(AI)의 토론’, ‘인공지능(AI) 조향사 센트리아’가 전시된다. 19일(목)부터 22일(일)까지 울산전시벤시컨션센터(UECO) C10과 D08 부스에서 관람할 수 있다. 인간 vs AI 토론에서는...

View Article

[조재원의 에코 사이언스] 명품 에너지는 없다

화석연료가 일으킨 지구온난화 재앙 시대에 등장한 그럴듯한 명품은 ‘절약’이었다. 절약의 도덕을 개인에게 씌우고 확보한 전기를 산업 성장의 동력으로 이용하면서 탄소 거래 등의 탄소 기반 비즈니스 모델까지 만들어 냈다. 이런 모델은 녹색기후기금을 통해 전 지구 차원의 도덕성을 제공했다. 그리고 새로운 에너지 명품이 등장했다. 녹색 옷을 입은 재생에너지와...

View Article

[조원경의 돈의 세계] 케인스와 죽어야 할 것들

안락사를 원하면 스위스 지원 단체에 가입해야 한다. 스위스가 외국인의 조력 자살을 허용한 유일 국가여서다. 존 케인스는 『고용, 이자, 화폐의 일반이론』(1935)에서 이자소득자의 안락사 얘기를 꺼냈다. 자본 공급이 늘어 금리가 떨어지면 지구상에서 이자소득자가 사라진다 했다. 돈은 생산적인 곳에서 돌 거라 믿었다, 케인스는 그런 제로금리 시대를 정확히...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DNA 복구 중 결함․돌연변이 막는 ‘결정적 순간’ 포착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단장 명경재,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특훈교수) 이규영 연구위원(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가장 심각한 DNA 손상으로 알려진 ‘DNA 이중나선절단(Double-strand break)’의 초기 복구 단계가 정교하게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 복구 과정에 문제가 있으면...

View Article

[박종화의 게놈이야기(30)] 차세대 해독기 등장

차세대 해독기는 2000년대 초부터 등장한 것이다. 그러나 그 실질적인 기술은 이미 1990년대 말에 완성돼있었다. 단지 이런 기술들을 통합해, 하나의 파이프라인이나 장치로 못 만들었을 뿐이다. 내가 1998년 1월 1일부터 하바드의대의 조지 처치 랩에서 일했을 때, 조지는 병렬화된 로봇트로 DNA해독기를 개발하고 있었다. 조지는 이미 해독에 관한 몇 개의...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자전거+화재 차단 전지’ 친환경 상영 기술 …산악영화제서 본다!

에너지화학공학과 김영식 교수 연구실 YK group이 20일 개막하는 울산울주세계산악영화제(UMFF·움프)에서 아시아 최초의 친환경 영화 상영 기술을 선보인다. 관객이 직접 자전거 페달을 밟아 만든 전기로 빔프로젝터를 돌려 단편 영화를 상영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오는 21일(토)~ 28일(토) 까지 울주군 복합웰컴센터 내 ‘움프시네마’에서 총 7편의 영화를...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그린수소부터 질소, 산소까지… 만능 기체 생산 시스템 개발

그린 수소와 같은 청정 기체 원료를 손쉽게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겉면에 엷은 막을 입혀 원료 생산 효율을 높인 이 기술은 그린수소 생산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이동욱 교수팀은 기체를 생산하는 전극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큰 면적의 하이드로젤 박막 기술을 개발했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 ‘갤럭시 신화’ 삼성전자 고동진 前사장 초청 특강

UNIST가 24(화) 오후 4시 UNIST 경영관에서 삼성전자 고동진 고문을 초청해 특강을 열었다. 고동진 고문은 평사원으로 입사해 삼성전자 사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삼성전자 IT모바일(IM) 부문을 총괄하며 삼성 ‘갤럭시 성공 신화의 주역’으로도 불린다. 이날 강연은 ‘일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고 고문은 지난 7월 삼성전자 38년 근무...

View Article

2023년도 경동장학재단 장학증서 수여식 개최

경동장학재단(이사장 이용훈 UNIST 총장)이 10월 25일(수) 오전 11시 대학본부 6층 대회의실에서 2023년도 장학증서 수여식을 가졌다. 이날 수여식에는 경동장학재단 이용훈 이사장과 경동도시가스 송재호 회장, 울산광역시의회 이성룡 부의장, 울산MBC 전동건 대표, 세무법인이산 홍근명 대표 등 재단 임원진이 참석했다. 수여식에서는 이지성(19, 남)...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생명과학과 이유진 연구교수, 암젠한림생명공학상 수상

UNIST 생명과학과 이유진 연구교수가 암젠한림생명공학상을 수상했다. 암젠한림생명공학상은 생명과학·생물공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보인 신진연구자를 발굴하고 포상하기 위한 취지로 지난 21년 제정된 상이다. 암젠코리아의 후원을 받아 국내 최고 권위 과학기술 학술기관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시상은 ‘차세대과학자’와 ‘박사후연구원’ 등...

View Article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연구단 학술 세미나 개최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연구단이 혈액암 진단·치료 기술 세미나를 27(금) 오후 3시에 UNIST에서 개최했다. 백혈병 초정밀 바이오연구단은 UNIST와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이 전주기적 백혈병 연구개발을 위해 지난해 2월 출범시킨 산·학·연·병 연합 연구단이다. 이번 세미나는 연구단 소속 대학, 병원, 기업, 연구기관 등이 모여 혈액암 분야 관련 최신 기술과...

View Article


[조원경의 이코노믹스] 적과의 동침도 불사, 기업 생태계 경쟁 시대 막 올랐다

진화하는 ‘생태계 경제’의 미래 플랫폼 경제는 2010년 전통적인 시장과 확연히 다른 개념으로 등장했다. 판을 깔아놓는 장터의 개념에 가깝고 네트워크 효과를 누리는 비즈니스의 개념이었다. ‘연결’이나 ‘매개’가 기본 역할이었다. 이후 협력적 소비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공유경제가 플랫폼 경제의 하나로 2015년 등장했다. 지금은 고인이 된 스티브 잡스가...

View Article

[박종화의 게놈이야기 (31)] 최초의 박테리아 게놈 –히모필러스 인플루엔지

히모필러스 인플루엔지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감기를 일으키는 세균(박테리아)이다. 이것의 완전한 게놈서열이 1995년 ‘사이언스’ 학술지에 발표됐다. 크레이그 벤터가 마지막 저자로 돼있다. 생물학에선 일반적으로 마지막 저자가 그 프로젝트를 이끈 사람이나 그룹의 대표자이다. 이 게놈의 크기는 1,830,137개의 염기로 이뤄져 있다. 박테리아가 가지는...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UCLA 스마트헬스센터, 디지털헬스케어챌린지 우승팀 시상

UNIST(총장 이용훈)는 미국 UCLA 스마트헬스센터(UCLA Center for SMART Health)와 공동 주최한 ‘디지털 헬스 케어 챌린지(Digital Healthcare Challenge by UNIST X UCLA Center for SMART Health)’의 최종 우승팀으로 메디컬에이아이를 선정했다. UNIST는 30일(월) UNIST...

View Article

태화강으로 간 이차전지 연구센터?! …울산시 건축상 수상

UNIST 캠퍼스를 돌다 보면 5층 높이 검은색 건물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회백색 벽과 통유리건물이 일색인 캠퍼스에서 존재감이 뚜렷하다. 바로 이차전지 연구센터다. 이차전지 연구센터가 울산 태화강에서 시민들과 만난다. 이차전지 연구센터의 건축 모형이 오는 2일(목)부터 나흘간 태화강국가정원 왕버들마당에서 개최되는 울산건축문화제에 전시되는 것이다. 이번 전시는...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도파민 시냅스 새로운 특성 발견, 뇌질환 치료의 초석 다진다

우리 뇌의 주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도파민 시냅스의 새로운 특성이 밝혀졌다. 도파민 관련 뇌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생명과학과 김재익 교수팀은 도파민 시냅스가 도파민뿐 아니라 신경세포가 과하게 흥분하는 것을 막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산업도시 울산의 디지털 전환과 미래 혁신’ 심포지엄 개최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산업도시 울산의 미래 혁신을 모색하는 심포지엄이 UNIST에서 열렸다. UNIST와 울산연구원(울산빅데이터센터)이 11월 2일(목)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까지 UNIST 해동홀에서 ‘산업도시 울산의 디지털전환과 미래혁신’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산업공학과 데이터과학 기반 국내외 산업 혁신 사례들을 공유하고, 울산의...

View Article

‘첨단 기술 시대 교양교육 해법 찾는다’.. UNIST 국제 콜로퀴움 개최

UNIST는 인문학부 인문연구소가 ‘첨단 인공지능(AI) 시대의 교양교육’이라는 주제로 국제 콜로퀴움을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난양공대(NTU), 홍콩과학기술대학교(HKUST), 광주과학기술원(GIST), 울산대학교 등의 교육 전문가가 참석해 첨단 기술 사회에서의 윤리, 정책, 그리고 교양교육의 사명에 대해 논의했다. 최진숙 UNIST...

View Article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