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손으로 조절하는“양자현상”…새로운 메타물질 변형 기술 나왔다!

메타물질의 기능은 이 물질 표면의 미세구조가 결정한다. 미세구조 재료가 고가인데다 만들기도 어려워 한 번 만든 미세구조를 여러 번 변형해 쓰는 게 상용화 관건이다. 국내 연구진이 손으로도 쉽게 변형 가능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UNIST(총장 이용훈) 물리학과의 김대식 특훈교수팀은 메타물질에 압력을 가해 표면 미세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는 원천 기술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 경신!

UNIST(총장 이용훈)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 세계 최고 효율을 경신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태양광 발전 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전지다. 연구 결과는 최고 권위 국제 과학 학술지인 Nature誌에 4월 5일 자로 게재됐다. 그림1. 개발된 물질을 쓴...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고향의 대기오염 해결에 도전합니다!”

UNIST 도시환경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응우엔 티 투옛 남(Nguyen Thi Tuyet Nam) 박사가 모국 베트남에서 대학 교수로 임용됐다. 응우엔 박사는 오는 6월부터 사이공대학교(Saigon University in Ho Chi Minh City) 환경과학부(Faculty of Environmental Science) 교수로 근무하게 됐다. 그는...

View Article

[정두영의 마음건강(14)]우울증에 대한 오해- 환자의 역할과 약물의 역할

2020년 국내 통계에 의하면 우울증과 조울증 등의 기분장애 환자가 100만명을 넘었다고 합니다. 4년 사이 30.7%가 증가했습니다. 특히 이 중에 20대가 17%로 가장 많았습니다. 북미에서는 1년 동안 남성의 3~5%, 여성의 8~10%가 우울증을 겪는다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사회적 비용이 가장 큰 질병이 우울증입니다. 우울증 치료에...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차세대 연료전지 재료 속 수소이온 이동 특성 규명!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부의 김건태 교수팀이 수소이온(양성자) 이 얼마나 빠르게 이중층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통과하는지를 알려 주는 정량 지표(확산계수 등)를 최초로 계산해 냈다. 여러 입자(이온, 전자)가 섞인 이 물질 내에서 수소이온만 골라 추적할 수 있는 기법을 이용한 덕분이다 이중층 페로브스카이트는 차세대 연료전지인 ‘양성자 세라믹...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당신이 있어 2020 UNIST가 밝게 빛났습니다”

UNIST는 지난 13일(화) 대학본부 4층 경동홀에서 ‘2020년 올해의 교원·직원포상 수여식’을 열었다. 시상식에서는 2020년 UNIST를 빛낸 우수 교원과 직원, 부서 등에 대한 시상이 진행됐다. 우수교원포상은 학술, 연구, 교육, 산학협력 각 분야에서 탁월한 공적을 보여준 교원에게 수여되고 있다. 포상추천위원회는 각 부문별로 대상 1명과 본상 2명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0 나노미터 광학 소자”제조 기술 개발.. 나노 공정 기술의 한계 극복!

나노 공정 기술 개발 속도가 더뎌지고 있다. 나노 공정은 고성능 반도체 칩 개발 등 초정밀 산업을 위한 핵심기술이지만, 초미세 구조 공정 단위가 0에 가까워질수록 기술 개발 속도 또한 한계치에 수렴해 가고 있기 때문이다. 더 이상 초미세 구조로 줄여 나가는 것이 쉽지 않다면, 아예 0부터 구조를 쌓아나가는 것이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 UNIST(총장 이용훈)...

View Article

정부는 경제살리기의 주체가 되어라

LG전자가 휴대폰 사업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과거 피처폰이 성행할 때 세계 3위를 하던 유망한 사업이 왜 이렇게 되었을까? 2015년부터 23분기 연속 적자가 가장 큰 원인이다. 일반적으로 회사의 적자가 연속 18분기 이상 지속되면 매우 위험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기업경영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경영목적이 확실하고, 인적자원이 풍부하며, 자본이 충분하고,...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울산대학교, 산업수도 업그레이드 나선다!

산업수도 울산을 미래기술 선도도시로 변화시키기 위해 지역 대표 대학들이 힘을 모은다. 이공계 대학생들의 교육과 연구로 지역 산업현장 문제해결에 도전하는 것이다. UNIST와 울산대학교는 19일(월) ‘2021년 현장연계 미래선도 인재양성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사업에 선정된 두 대학은 향후 최대 5년간 114억 원의 지원금을 확보해 지역의...

View Article


[정연우칼럼]Trans Lifestyle, 삶의 변화

최근 시작한 엘지전자 산학연구프로젝트가 있다. 포스트 코로나+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근미래 주방가전제품 개발이 주제다. 연구에서 어느 하나 빼먹을 수 없지만 제일 중요한 워딩은 ‘MZ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이라는 단어다. 라이프 스타일이 뭐지? 삶의 형태나 방식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삶은? 철학적 사유를 넘어, 관찰의 대상으로 보면...

View Article

[특별연재 칼럼] 인간, 기술 그리고 디자인 공기청정기

토요일에도 여전히 오전수업과 오전근무가 존재했던 필자의 어린 시절 주중에 밀린 잠을 보충하기 위해 일요일 늦게까지 이불 속에 묻혀 있고 싶지만, 아버지는 늦잠을 자던 우리들을 깨울 겸 큰방 창문을 활짝 열어 제친다. 갑자기 창문 넘어 들어온 공기의 차가움에 화들짝 놀라 이불로 온몸을 똘똘 말았던 그 시절, 그때의 아침 공기는 언제나 신선하고 깨끗했었다. 그...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 ‘스마트 해상물류 창업오디션’ 참가자 모집

UN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원장 최영록)이 2021년 ‘스마트 해상물류 창업오디션’ 참가자를 모집한다. 모집기간은 오는 5월 7일(금)까지다. 해양 분야 창업을 꿈꾸는 대학(원)생 또는 5년 이내의 졸업생이라면 개인 혹은 팀 자격으로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스마트 해상물류 창업오디션은 해양수산부가 주관하고, UN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과 울산항만공사가...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제조공정에서 α상-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안정화의 단서 나왔다!

페로브스카이트 박막(10-6m 수준의 얇은 막) 제조 공정 부산물이 페로브스카이트 α상(phase, 결정 입자를 구성하는 원자 배열 모양) 결정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는 가설이 처음으로 제시됐다. 페로브카이트 태양전지 핵심 소재인 페로브스카이트(FAPbI3, 삼요오드화 납계 포름아마디니움) 박막은 빛을 흡수하는 효율이 뛰어난 α상 결정과 불순 결정이 섞여...

View Article


“인류 난제 해결 위한 혁신과학기술 개발 응원합니다”

동그라미재단이 20일(화) UNIST를 방문했다. 2020년 ‘동그라미재단 혁신 과학 프로젝트’ 공모에 선정된 기관을 방문하기 위해서다. 이날 재단은 김동혁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의 ‘폐플라스틱 탄소선순환센터’와 김영식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의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를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해 공모에 신규 선정된 연구기관을 방문해 연구책임자 및...

View Article

[에너지칼럼] 전기화: 미세먼지 활용법

국립환경과학원에서 발표한 2020년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관측 이래 최저 수치인 19㎍/㎥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 3월 말에는 황사경보와 더불어 미세먼지 농도가 모두 ‘매우 나쁨’ 수준으로 시간당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75㎍/㎥ 이상인 상태가 전국적으로 2시간 이상 지속되는 최악의 대기질을 보였다. 중국과 몽골에서 시작된 황사가 그 원인이라고 한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그래핀(graphene), 절연체 위에 천천히 합성되는 이유 찾았다!

그래핀은 강철보다 강하면서도 유연하고 투명한 소재다. 전기전도성 또한 전선 소재로 쓰는 구리보다 100배 이상 좋다. 이 때문에 반도체 소자 집적 한계를 돌파할 새로운 반도체 재료나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전자소자 재료로 꼽힌다. 그래핀을 상용화 하려면, 금속 기판위에서 그래핀을 합성한 뒤 기판에서 분리해내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다공성 물질(MOF) 변형기술 개발..“금값” 팔라듐 재활용 길 열려

금보다 비싼 팔라듐 등과 같은 고가의 촉매 소재를 재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 기술이 개발됐다. 고가의 소재를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어 공정비용을 절감하고, 한정된 귀금속 광물자원 소모를 줄일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UNIST (총장 이용훈) 화학과 나명수 교수·백승빈 연구교수·충북대 화학과 김민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금속-유기물...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한국인 만명 게놈 해독 완료! … 초대형 바이오 빅데이터 기반 마련

UNIST와 울산광역시가 26일(월) 오후 2시 제4공학관(110동) N101호에서 한국인 만명 게놈 해독 완료를 선언했다. 지난 2015년 출범한 ‘게놈코리아 인 울산(Genome Korea in Ulsan)’을 통해 진행된 ‘울산 만 명 게놈 프로젝트’의 완료를 기념하는 것이다. 울산 만명 게놈프로젝트는 2016년 시작해 현재까지 건강인 4,700명,...

View Article

인공지능에 가해질 수 있는 악의적 공격

인터넷의 시대가 가고 ‘메타버스(Metaverse)’의 시대를 전망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게는 아직 생소할 수도 있는 메타버스는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는 3차원 그래픽 가상 공간의 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 세계를 그려낸 스티브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레디 플레이 원’과 닌텐도 게임 ‘동물의 숲’을 포함한 다양한 대규모...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아람코-미담장학회,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대상 코딩 교육기부 협약

UNIST는 28일 10시 대학본부 중회의실에서 글로벌 종합 에너지·화학 기업 아람코의 한국법인 아람코 코리아 및 미담장학회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대상 코딩 교육기부’ 협약을 체결했다. 이 프로그램은 UNIST가 아람코 코리아, 미담장학회 등과 함께 소프트웨어 교육격차 해소를 목표로 추진하며, 올해 울산에서 140명의 아동∙청소년에 대해 교육을 실시할...

View Article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