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전기차 달리면서 충전’다이내믹 무선 충전 기술 개발

충전소를 찾지 않아도 되는 전기차 시대가 가까워졌다. UNIST 연구팀이 운행 중인 차량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림1.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물류 로봇에 응용된 예시 전기전자공학과 변영재 교수팀은 이동 중인 차량에 끊김 없이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공급 트랙’을 개발했다. 전선으로 구성된 넓고 강한 자기장을 형성해 고가의 자석인...

View Article


[목요칼럼]의사 결정의 기술

우리는 매일 크고 작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아침 식사 메뉴를 고르는 것부터 직업을 선택하는 것까지, 우리의 모든 선택은 결국 우리의 미래를 결정짓는 요소가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을까? 기회비용, 상충 관계, 그리고 불확실성 속에서의 의사 결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개념들을 잘 활용하면 우리는 더 만족스러운...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결함 극복

에너지화학공학과·화학과 공동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결함 문제를 해결해 효율성과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상용화 가능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김진영, 김동석 교수와 이근식 교수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과 전자수송층 사이에 양방향 조율 분자를 넣어 이온 배열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구조의 불규칙성을 줄이는 데...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스마트폰 화면에서 직접 충전’ 유리형 투명 태양전지 모듈 개발

스마트폰 화면에서 배터리를 직접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다. 에너지화학공학과 연구팀이 투명한 태양전지를 통해 건물, 자동차, 모바일 기기 유리에서 직접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그림1. (위) 16 cm2 크기의 후면전극형 투명 태양전지 모듈, (아래) 소자 연결 개수에 따른 후면전극형 투명 태양전지 모듈의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스마트폰으로 공구 마모 실시간 예측한다

스마트폰으로 정밀 가공 공구의 마모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공구의 마모를 예측해 고품질 생산 유지가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기계공학과 박형욱 교수와 산업공학과·인공지능대학원 임성훈 교수팀은 스마트폰 센서를 활용해 실시간 공구 마모 예측 방법을 개발했다. 절삭 공구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글로벌 AI 석학, 울산에 모였다” UNIST 인공지능 워크숍 성료

인공지능대학원은 ‘2024 인공지능 기술 공개 워크숍’을 6일(금) 제3공학관에서 개최했다. 학계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AI 기술 발전을 위한 협력 모델을 제시했다. 이번 워크숍은 최신 인공지능(AI) 기술 동향과 인공지능대학원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로, 영국 옥스퍼드대와 버밍엄대 석학, HD현대 AI 전문가, UNIST 교수 등 14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View Article

[배성철 칼럼(2)]울산의 미래 신산업 바이오의료산업에 대해

지난 달 20일 존슨앤드존슨 이노베이티브 메디슨(옛 얀센)은 유한양행에서 기술을 이전받은 폐암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와 기존 약물의 병용요법으로 미국 FDA 승인을 획득했다. 전체 폐암의 85%를 차지하는 비소세포암 치료제로서 탁월한 성능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렉라자의 최대 경쟁제품인 아스트라제네카사 타그리소의 지난해 매출이...

View Article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