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UNIST 정보바이오융합대학·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업무협약 체결

정보바이오융합대학은 지난 5월 31일 연세대학교(총장 윤동섭) 간호대학과 ‘국내 의료산업 발전과 전문 의료인 양성에 관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 대학은 △의료 전문인 양성을 위한 공동 교육 △헬스케어 관련 공동 연구 △간호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학 간 교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심재영 정보바이오융합대학장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과...

View Article


[최진숙의 문화모퉁이(13)]6월, 그리고 자유의 가치

폭염이 시작된 이 뜨거운 6월에 ‘자유’를 생각한다. 바로 이틀 전인 6월10일은 1926년 6·10 만세운동이 있었고, 1987년 6·10 항쟁이 있었던 날이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컬럼비아 대학에서 시작해 전국으로 퍼진 대학생들의 반전 운동, 친팔레스타인 운동이 벌어져 왔다. 물론 대학에 따라서 폭력이 예상되는 경우 경찰을 투입해 강경 대응하는...

View Article


산업공학과 권상진 교수팀,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대상 수상

산업공학과 권상진 교수팀이 지난 5월 10일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가 주최한 ‘제22회 대학생 프로젝트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 권 교수팀은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 트럭과 드론을 연계해 구호물자를 신속하게 분배하는 최적화 모델을 제시해 주목받았다. 이번 프로젝트는 권상진 교수와 연구조교 강태엽 대학원생의 지도 아래, 산업공학과 최성훈, 라수련 학생,...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에 모인 XRD 최고 전문가들… 기술적 동반 성장 이끈다

엑스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기술의 연구와 응용을 위한 ‘2024년도 제2차 XRD 연구교류회’가 지난 5월 30일(목) UNIST에서 열렸다. 이번 교류회는 4대 과학기술원과 국가 연구소를 포함한 12개 기관의 18명의 XRD 전문가들이 참여해 첨단 연구장비 운영의 핵심 도구인 XRD 기술 노하우를 공유했다. XRD는 특정 물질에...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 ‘2024 전국대학 재난안전데이터 해커톤 대회’성료

산학협력단 창업팀은 6월 11일(화)부터 12일(수)까지 무박 2일간 ‘2024 전국대학 재난안전데이터 해커톤 대회’를 산학협력관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대회는 행정안전부와 UNIST, 서울대학교 대학연대 지역인재 양성사업단이 공동 주관했으며, 전국의 대학(원)생들이 모여 인공지능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 문제 해결 아이디어와 서비스 모델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제1회 ‘연구행정 지식잔치 in UNIST’ 열린다

세계적 연구를 뒷받침하는 ‘연구행정 전문가’의 생생한 지식을 나누는 장이 열린다. UNIST(총장 이용훈)가 연구행정 전문가 양성과 교류를 위한 ‘연구행정 지식잔치 in UNIST’를 개최한다. 6월 18일(화)부터 19일(수)까지 UNIST 대학본부에서 1박 2일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연구행정 관련 18개 강연으로 꾸려진다. 강연 외에 연구행정의 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울산 주력산업 재도약, 씨티프레너스 창업경진대회에서 해법 모색

창업팀은 울산광역시와 함께 12일 ‘도시혁신챌린지: 씨티프레너스 울산(Citypreneurs Ulsan) 2024’ 창업경진대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UNIST 산학협력관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스타트업이 한데 모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과 울산의 도시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이번 대회는 울산광역시, UNIST,...

View Article

[박종화의 게놈 이야기(최종회)] 게놈 이야기의 미래

내 아내는 조지 처치의 아내인 Ting Wu(팅 우) 박사를 GET(겟) 학회에서 처음으로 만났다. 팅 우 박사는 하바드 의대 교수이고 게놈 관련 교육에 관심이 많았다. 조지의 딸도 게놈 해독이 됐는데 공개는 하지 않았다. 매년 열리는 GET conference 중에서 특히 2010년이 의미가 있었던 이유는 2010년 이후로는 더 이상 소수의 게놈 해독이 된...

View Article


원자력공학과, ‘원자력 안전규제 라운드테이블’ 개최

원자력 규제 이슈와 최신 기술 동향을 자유롭게 토론하는 소통의 장이 열렸다. 지난 5월 31일, 원자력공학과는 해동홀A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재)소형모듈원자로규제연구추진단 관계자들과 함께 ‘원자력 안전규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서는 미래의 탄소중립 달성에 중요한 차세대 원자로(i-SMR)의 규제 현황과 도전과제를 심도 있게 토론했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눈으로 보는 실시간 뇌파 디스플레이, 뇌 수술 성공률 높인다

뇌 수술의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실시간 뇌 활동 모니터링 기술이 등장했다. 정상 조직과 병변 조직을 눈으로 구분할 수 있어 수술의 정밀도를 크게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최영빈 교수팀은 뇌 표면 뉴런 활동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뇌 수술 중 병리학적 활동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병변 조직을 정확히...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생체환경 그대로 재현한 ‘장기칩’으로 약물 전달률 극대화!

약물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장기(臟器)와 혈관의 생체환경에 최적화된 약물 전달 기술이 필요하다. UNIST 연구팀이 ‘장기칩(Organ on a Chip)’ 기술을 이용해 약물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내놓았다.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태은 교수와 권태준 교수 연구팀은 쥐의 생체 세포를 배양해 혈액-뇌 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공과대학, 3D프린팅 선도 기업 Materialise와 협약 체결

UNIST와 Materialise가 3D프린팅 연구 개발을 위한 상호 협력 약정을 체결했다. 4일(화), 공과대학(학장 김성엽)과 3D프린팅 전문기업 Materialise(회장 Wilfried Vancraen)는 본관 506호 회의실에서 협약식을 가졌다. 협약을 통해 UNIST와 Materialise는 적층 제조의 설계 자유도 특성을 활용하여 제조업체에 설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연구행정 전문가 330여 명, UNIST에서 즐기며 배웠다

“연구행정 담당자를 위한 축제 같은 시간이었습니다. 많이 배우고, 마음껏 즐길 수 있어서 좋았어요. 앞으로도 함께 모여 공부하고 노하우도 나눌 수 있길 바랍니다.” 전국 25개기관에서 330여 명이 행사에 참석했다. l 사진: 엄동섭 ‘연구행정 지식잔치 in UNIST’에 전국 각지의 연구행정 관계자 330여 명이 모여 화제다. 6월 18일(화)부터...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 등 7개 대학, ‘실험실 창업 활성화’머리 맞댔다

창업팀은 20일과 21일,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전국 7개 권역별 실험실창업혁신단 주관대학들과 함께 대학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위한 공동 워크숍을 열었다. 이번 행사는 연구 성과를 창업으로 연결해 일자리 창출과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자리였다. 대학과 연구소에서 나온 혁신 기술을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하는 방안들을 논의했다. 지역...

View Article

[비즈니스 인사이트] 설레면서 두려운… AI 시대를 향한 세 가지 관점

세계 최초로 휴대전화에 인공지능(AI) 비서 ‘시리’를 탑재한 기업이 애플이다. 시리와 같은 음성 비서가 오류와 낡음의 표상이 되자, 애플은 최근 세계개발자회의(WWDC24)에서 생성형 온디바이스 AI로 ‘새로운 시리’의 시대를 선포했다. 자국 이익 우선주의가 판치며 인공지능(AI) 기술 패권전쟁이 한 치 앞을 가늠하기 어려운 가운데, 우리는 AI를 어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텍스트만 입력하면 손 움직여’ 물체 조작 손동작 3D 모션 기술 개발

복잡한 초기 설정 없이도 단순한 텍스트 입력만으로 정밀한 3D 모션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했다. 인공지능대학원의 백승렬 교수팀은 프롬프트 입력 창에 텍스트를 넣으면 손과 물체의 상호작용 동작을 생성하는 기술(Text2HOI)을 개발했다. 단순한 텍스트 한 줄로 손과 물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로 향후 3D 가상현실 분야 상용화를...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여름철 폭염, 이제 10일 전에 정확히 예측 가능해진다!

우리나라에서 10일 전부터 폭염 발생 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매년 기록적인 더위가 예고되는 가운데 국민들이 폭염을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지구환경건설도시공학과 이명인 교수팀은 우리나라 폭염발생을 10일 전부터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기상청 전지구 앙상블 예측 시스템을 활용해 여름철 폭염 예측 정보를...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기존 지식 유지하는 AI 기술, 자율 주행·보안 시스템 혁신한다

AI의 핵심 기술은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면서도 기존 지식을 유지하는 것이다. 사람도 새로운 것을 배우면서 기존 경험을 잊지 않듯, AI도 같은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공지능대학원 백승렬 교수팀이 AI가 기존 지식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정보를 학습할 수 있는 ‘SDDGR(Stability Diffusion-based Deep Generative...

View Article

[김대식의 과학과 사회] 4대 과기원은 어디로; 하이스트는? 유니스트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카이스트,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과 함께 4대 과학기술원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4대 과기원은 앞으로 어떤 길을 가게 될 것인가? 인도의 MIT라 불리며 미 실리콘 밸리와 월가의 주축을 이루는 인도 공과대학교(Indian Instititute of Technology; IIT)와 비교해 보자....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정밀한 3D 모델링 기술, 고해상도 문화재 복원한다

우리의 일상과 산업 전반에 깊이 스며든 3D 재구성 기술이 한층 더 발전했다. UNIST 연구팀이 개발한 정밀 3D 모델링 기술은 문화재 복원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전망이다. 인공지능대학원의 주경돈 교수팀은 물체의 형상을 세밀하게 재구성하는 DITTO(Dual and Integrated Latent Topologies) 기술을 개발했다. 점을 찍어 형태를...

View Article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