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화의 게놈이야기(47)] 게놈에 대한 몇 가지 개념 이야기
# 선도게놈해독과 재해독 (Resequencing) 차이 한 생물의 전장(full length) 게놈을 해독(sequencing)하는 것은 대체로 두 가지로 나눈다. 하나는 선도 해독 혹은 신생 해독 (de novo sequencing)이다. 생어해독기를 사용하며, 게놈의 지도를 만들어 가면서 하는 매우 비싼 방법이다. 이것은 완전히 새로운 생물 종에 많이...
View ArticleUNIST 인권센터, 제 1기 인권서포터즈 발대식 개최
UNIST(총장 이용훈) 인권센터는 지난 2일, UNIST 제 2공학관에서 ‘제 1기 인권서포터즈’ 발대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임명장을 수여 받은 제 1기 인권서포터즈 8명이다. 올해 1년간 인권 감수성 및 성 인지 감수성 향상과 교내 존중 문화 확산을 위한 캠페인 기획, 콘텐츠 개발, 기관 탐방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한다. 김정연...
View Article전고체 배터리, 더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찾았다
전고체 배터리를 더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밝혀졌다. 안전한 배터리 시스템 개발 등에 중요한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정성균 교수팀은 충전된 양극과 할라이드계 고체 전해질 사이의 열 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그 연관성을 밝혔다.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는 리튬이온전지는 화재와 폭발의...
View Article[조원경의 돈의 세계] 커피, 맥주 그리고 소주 한 잔
브라질에 비가 오면 스타벅스 주식을 사라 했다. 세계 최대 커피 산지 브라질의 가뭄이 커피 한 잔이란 여유를 위협해 왔다. 스타벅스 주가는 쓴맛이다. 사상 최고가를 쓴 미국 주식시장과 달리 거꾸로 달렸다. 원두 가격이 지난해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오르자 수출 기업이 울상이다. 이미 계약한 건을 생산 원가보다 5~10% 낮은 가격으로 공급하니 짜증이다....
View Article[박종화의 게놈이야기(48)] 한국인 게놈 논문 내용
김성진 박사의 한국인 게놈 프로젝트에서 해독한 DNA 조각 수는 무려 17억5,000만개였다. 총 합산된 DNA 길이로는 821억 염기(base pair)에 해당된다. 이 양은 한 개인 유전체 총량의 29배에 해당하며, 현재 널리 쓰이는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형태로는 82 기가바이트의 용량이다. 게놈 길이 하나의 29배나 되는 양으로 서열을 해독한...
View Article2023년, UNIST 발전에 기여한 우수 교원 포상 수여식 개최
4월 8일(월), UNIST 대학본부 4층 경동홀에서 2023학년도 우수 교원 포상 수여식이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2023년 한 해 동안 우수한 성과를 거둔 12명의 교원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우수교원 포상은 매년 학술, 연구, 교육, 산학협력 분야에서 탁월한 공적을 세워 UNIST 발전에 공헌한 교원을 격려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 각 분야별...
View Article[김대식의 과학과 사회]역사적 포피복원수술
포경수술의 역사는 매우 길다. 유대교에서는 생후 8일 만에 포경수술(할례)을 행하게 되며 하나님과의 약속이라고 여긴다. 이슬람교에서는 대부분 남성들이 수술하게 되지만 꼭 생후 며칠 후 또는 몇 달, 몇 세라고 딱히 정해진 것은 없다. 기독교가 세계종교가 되는 데에 있어서, 가장 큰 역사적 사건은 이방인들에 대한 포교였으며 또한 이방인들이 굳이 포경수술을 받을...
View Article지역의 물류, 더 효율적으로 배송한다
물류 배송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용훈) 산업공학과 권상진 교수팀은 연간 유동인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을 통합한 물류 최적화 방법론을 개발했다. 물품이 고객에게 배송되는 마지막 단계인 라스트 마일(Last mile) 배송을 크라우드소싱과 결합해 이상적인 터미널 위치를 결정하는...
View Article전염병 바이러스, 분자지문 찾아가며 실시간 검출한다
UNIST(총장 이용훈) 물리학과 김대식 교수팀과 UNIST 화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원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 부단장인 서영덕 교수는 POSTECH(총장 김성근)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 · 통합과정 문태영 · 주희태 연구팀과 함께 잘 휘어지는 연성물질을 이용하여 빈틈제어가 자유자재로 가능한 ‘광대역 나노빈틈 금 분광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면 전염병...
View Article고효율의 암모니아, 친환경적인 태양에너지로 생산한다
태양에너지만으로 고효율의 암모니아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지욱, 장성연 교수팀은 스탠퍼드 대학교 Thomas F. Jaramillo 교수와 공동으로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 광전극 시스템을 개발했다. 미국 에너지부가 정한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 속도의 상용화 기준치를 약 1.7배...
View Article제철산업 현장에 바로 사용 가능한 고안정성 산업효소 개발
UNIST(총장 이용훈) 탄소중립대학원 및 에너지화학공학과 김용환 교수, 김석민 박사와 서울대학교 화학과 이형호 교수 공동연구팀은 단백질 미세터널구조를 재설계해 일산화탄소(CO)를 효율적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산업 효소를 개발했다. 철강산업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사전 처리 없이 바로 활용할 수 있다. 개발된 산소에 안정화된 일산화탄소 전환효소(CO...
View Article백혈병의 원인, 유전체 불안정성 증가 요인 찾았다
단백질의 돌연변이가 백혈병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졌다. UNIST(총장 이용훈) 생명과학과 김홍태, 이자일 교수팀은 가톨릭대학교 김유진, 김명신 교수팀과 공동으로 혈액암의 일종인 골수형성이상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MDS)에서 돌연변이화 된 DDX41 단백질의 역할을 밝혔다. 이를 통해 유전자의 총량인 유전체의...
View Article[조원경의 돈의 세계] 전쟁과 자산 시장의 역설
미국 물가가 불안하다. 3월 생산자물가는 기대를 하회했으나 소비자 물가는 예상을 넘었다. 그간 미국 금리 인하 전망이 김칫국부터 먼저 마신 것 같다. 주식과 채권 가격은 통상 반대로 움직인다. 경기가 좋으면 기업 수익성 개선으로 주가 강세가 나타난다. 자금 수요가 늘어 채권을 많이 찍어 금리가 오르고 채권값은 내린다. 이런 관계가 높은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View Article2024 울산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 사업설명회 개최
UNIST(총장 이용훈) 울산울주 강소특구센터는 지난 18일 UNIST 산학협력관에서 ‘2024년 울산울주 강소연구개발특구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지역 내 중소·벤처기업 및 공공연구기관 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지역 내 기업의 성장 및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울산울주강소특구 지원사업뿐만 아니라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
View Article[박종화의 게놈이야기(49)] 개인유전체 분석 과정
미국의 표준게놈 서열에 한국인(SJK)을 비교 해본 결과 표준게놈 대비 99.90%에 부합됐다. 서양인 표준게놈과 비교 분석 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36 또는 75bp 염기 길이의 서열 조각이 이미 알려진 표준게놈의 영역에 정렬을 할 때 36개 또는 75개 염기 중 염기의 불일치 숫자가 2개 이하 인 조각들만 사용했다. 또한, 채용된 서열 해독 기술의...
View Article색상 표현 기술이 향상된 순적색 초고효율 발광소자 개발!
DGIST(총장 이건우) 에너지공학과 양지웅 교수팀이 순적색 고성능 피부부착형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를 제작하여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UNIST(총장 이용훈)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과 공동으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선택적 표면개질을 통한 순적색 초고효율 발광소자’를 개발한 연구팀은, 해당 기술이 향후 다양한 웨어러블...
View Article세계 최초, 1기압에서 다이아몬드 생산 성공
대부분의 다이아몬드는 고온고압 조건에서 생산된다는 패러다임이 완전히 깨졌다. 바로, 우리 주변 기압인 대기압(1기압)에서 다이아몬드를 합성시키는 방법이 최초 개발된 것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로드니 루오프 연구단장 연구팀은 갈륨, 철, 니켈, 실리콘으로 구성된 액체 금속 합금을 이용하여 1기압에서 다이아몬드를...
View Article평면 세계에 갇힌 물 분자의 1조 분의 1초, 그 순간을 관찰했다
미세한 크기의 물 분자가 멈추는 순간이 포착됐다. UNIST(총장 이용훈) 물리학과 박형렬 교수팀은 강원대학교 정지윤 교수팀, UNIST 김대식, 박노정, 정준우 교수팀, 충북대학교 김경완 교수팀, 서울대학교 박윤 교수팀과 함께 테라헤르츠파를 이용해 나노 공진기 내부 이차원 세계에 갇힌 물 분자의 동역학이 억제되는 것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그림1....
View ArticleUNIST 박새롬 교수팀, IEEE on SaTML 2024 Competition 1위 수상
UNIST 산업공학과의 인공지능 보안 연구실 박새롬 교수팀은 머신러닝 보안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대회 중의 하나인 ‘IEEE Conference on Secure and Trustworthy Machine Learning’에서 ‘CNN Interpretability(합성곱 신경망* 해석능력)’ 분야 1위를 수상하였다. 지난 4월 9일부터 11일까지...
View Article2024 새내기 전공탐색설명회 개최
UNIST(총장 이용훈) 새내기학부는 23일(화)부터 25일(목)까지 총 3일간 ‘2024 새내기 전공탐색설명회’를 108동 U110에서 개최했다. 전공탐색설명회는 신입생들의 적성에 맞는 전공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됐다. 학생들의 조기 전공 탐색의 기회와 전공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기획한 프로그램이다. 그림1. 학생들이 전공탐색...
View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