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 2023 THE 세계대학평가 세계 순위 4단계 상승

UNIST의 세계 순위가 4계단 상승했다. 앞서 소규모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3위’를 기록한 UNIST는 이제 ‘젊고 강한 대학’으로서 입지를 단단히 굳혔다. 영국의 대학평가기관 THE(Times Higher Education)가 12일(수) 발표한 ‘2023 세계대학평가(World University Rankings)’에서 UNIST가 세계 174위에...

View Article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장관상 수상

3D프린팅 융합기술구센터(센터장 김남훈, 이하 3D프린팅 센터)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3D프린팅센터는 지난 13일(목) 구미에서 개막한 ‘2022 제10회 국제3D프린팅 코리아 엑스포’에서 장관상을 받았다. 자동차와 조선, 항공 등 110여 개 기관과 기업들을 대상으로 250여 가지 부품을 제작하고 양산하며 시험‧분석을 지원한 공로를...

View Article


[조원경의 기술과 금융] 바이오 테크의 미래 ‘의료 메타버서티’가 답이다

3차원(3D) 가상세계를 일컫는 메타버스는 지구촌을 뜨겁게 달궜다. 2000년대 초반 닷컴버블을 떠올린 것일까? 새로운 게 없다는 인식으로 메타버스 대표 주식 주가의 거품이 심하게 꺼지고 있다. 애플 최고경영자(CEO)인 팀 쿡은 메타버스 세상을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증강현실(AR)의 미래가 더 밝고 교육과 의학 분야에 제대로 기여할 것이라고 봤다....

View Article

[정연우칼럼 아웃사이트(10)]객관화의 지성

중동 바레인으로 가는 길, 인천공항에서 선물을 골랐다. 대한민국의 고유성을 어필하고자 전통 공예품 매장에서 고려시대 구름 문양을 자개로 입힌 조그만보석함을 골랐다. 직원이 포장하는 동안 바레인 친구 부부가 보자기를 풀고 감탄할 표정을 상상하니 뿌듯했다. 찾아보니 자개의 영어표기는 mother of peal이다. 뭔가 한국을 지칭하는 단어가 들어있는 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2022 과학기술원 공동창업경진대회’울산에서 열린다

‘2022 과학기술원 공동창업경진대회’가 오는 27일(목)과 28일(금) 울산 라한호텔에서 진행된다. 이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하고, 4대 과학기술원(UNIST, KAIST, DGIST, GIST)이 공동 주최한다. 이번 공동창업경진대회는 4대 과학기술원 소속의 학생 창업기업을 격려하고, 다양한 혁신 주체와 협력을 도모하는 등 실험실 기반의 창업...

View Article


[정두영의 마음건강(32)]마음을 알아주려는 자세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월요일 아침 이상한 소리에 깼습니다. “싫어. 싫어. 아침이 이게 뭐야. 이걸 먹으란 말이야?” 아이가 쉰 목소리로 할머니에게 생떼를 부리고 있었습니다. 야채가 담긴 접시를 거부하고 잠옷 채로 식탁에 노트북을 켜서 게임을 하려고 합니다. 교과서를 읽는 것 같은 어색한 말투에 어젯밤 일이 생각났습니다. 아침을 먹여 학교에 보내려고 마음이 급해진 할머니에게...

View Article

[조재원의 에코 사이언스] 자연과 한 몸이 되는 생태 식사법

올가을에는 여러 색을 띠는 열매, 잎, 줄기, 뿌리로 만든 음식을 골고루 균형 있게 먹자. 단백질을 많이 먹어야지, 탄수화물과 지방 섭취는 줄여야지, 비타민은 꼭 챙겨 먹어야지, 부족한 미네랄은 어떻게 보충하지 고민하면서 단백질 음료, 종합비타민, 미네랄 음료 등에 의존하지 말고 음식으로 해결해 보자. 장에 가서 열매, 잎, 줄기, 뿌리 채소를 골고루 고르고...

View Article

적기냐 새냐… 2차대전 레이더병 딜레마가 낳은 신호탐지이론

2차 세계대전 때 연합군에 레이더병의 실수는 큰 골칫거리였다. 당시에는 레이더 질이 좋지 않아 화면에 찍힌 게 적기(敵機)인지 새인지 잘 구별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새를 적 폭격기로 착각해 쓸데없이 공습경보를 울리는 일이 적지 않았다. 레이더병을 꾸짖자 이번에는 적기가 나타났는데도 새라고 착각해 공습경보를 울리지 않는 일이 벌어졌다. 레이더병에게 일어날 수...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뻔한 것 말고 더 창의적으로!

새로운 도전이 늘 성공을 담보하는 건 아니지만 세상 모든 변화와 발전은 늘 도전하는 사람의 손에서 나왔다. 여기 도전 앞에 두려움보다 설렘을 안고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원자력공학자가 있다. 세계 원자력 에너지 연구의 중심으로 무언가에 한 번 빠지면 골몰하던 사람. 남들이 하는 흔한 방식 말고 더 창의적인 방법을 고민하던 사람. 현재 미국 아이다호 국립연구소...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울산 울주 강소특구, 혁신 네트워크 합동 워크숍 개최

울산 울주 강소특구의 주축이 되는 기업과 기관 주체들이 한 자리에 모인 ‘울산 울주 강소특구 혁신 네트워크 합동 워크숍’이 열렸다. 행사는 20일(목)과 21(금) 양일간 그랜드 조선 부산에서 개최됐으며, ‘혁신기술 네트워크’와 ‘기업육성 네트워크’에서 60여 명(9개 분과, 20개 기관, 8개 기업, 1개 협회)이 참석했다. 모든 혁신주체가 참여하는...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UNIST×스마트 수·과학실, 미래 화학 탐험가 모집!

UNIST가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2022 UNIST×스마트 수·과학실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한다. ‘2022 UNIST×스마트 수·과학실’은 탄소중립과 소수산업 실현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경쟁력 있는 차세대 화학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추진되는 프로그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지원을 받아...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스스로 조립해 다양한 모양 만드는 ‘나노 성냥개비’

성냥개비 모양의 나노 물질이 스스로 조립되며 형상을 만드는 기술이 나왔다. 분자보다 큰 물질에서도 분자에서처럼 다양한 구조를 만들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손재성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성냥개비 형상의 ‘황화은(Ag₂S)-황화카드뮴(CdS) 무기물 나노 계면활성제’ 제작에 성공했다. 이 물질 표면의 친수성과 소수성을 조절하면 다양한 형상의 자기조립 구조체를...

View Article

[이명인의 기후와 환경(10)]한파와 지구온난화

장면 #1: 미국이 대통령 선거로 뜨거웠던 2016년 9월 어느 날, 대선후보 TV토론에서 힐러리 클린턴이 상대 후보를 앞에 두고 이야기한다. “기후변화가 중국인들이 만들어낸 사기라고 하셨는데….” “난 그런 말 한 적 없는데? 난 그렇게 주장하지 않아요.” 도널드 트럼프가 말을 끊으며 맞받아친다. 정말인지 아닌지 팩트체크를 해보자. 트위터로 대중들과...

View Article


2022 경동장학재단 장학증서 수여

경동장학재단이 10월 26일(수) 오전 11시 UNIST 대학본부 6층 회의실에서 2022학년도 장학증서 수여식을 가졌다. 이 날 수여식에는 경동장학재단 이용훈 이사장과 경동도시가스 송재호 회장, 울산MBC 전동건 대표, UNIST 김혜경 상임감사, 장학금 수혜학생 등 총 10여명이 참석했다. 이용훈 이사장은 윤혜민(19, 여) 학생(새내기학부) 등...

View Article

과기원 창업경진대회 우수상에 UNIST ‘티엠비’

UNIST를 비롯한 과학기술원(KAIST, DGIST, GIST)가 공동 주최한 ‘2022 과학기술원 공동창업경진대회’가 이틀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번 행사는 10월 27일(목)과 28일(금)까지 울산 라한호텔에서 진행됐으며, 둘째날에는 경진대회 결과가 발표됐다. 과학기술부장관상인 대상에는 KAIST의 ‘유니테크쓰리디피’가 뽑혀 상금 500만원을 받았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그래핀 10만 층 쌓아 만든 가장 완벽한 흑연 나왔다!

그래핀을 10만 겹 이상 쌓아 만든 가장 완벽한 흑연이 나왔다. 펑 딩(Feng Ding)  신소재공학과 교수(IBS 다차원탄소재료 연구단 그룹리더)는 중국 북경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완벽한 단결정 흑연을 합성했다. 일반 흑연보다 열이나 전기의 전도성이 뛰어난 데다 얇고 유연해, 붙이거나 접을 수 있는 배터리와 휴대전화 같은 차세대 전자기기에 쓰일 전망이다....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피 뽑지 않고 혈당 측정!”… 전자기파 기반 센서 나와

피를 뽑지 않고도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나왔다. 피부 내에 측정 장치를 삽입하고 ‘전자기파’를 이용해 혈당 변화를 측정하는 기술인데, 영구적으로 쓸 수 있고 정확도도 높다. 혈당 측정을 위해 매일 수차례 바늘로 찔러 채혈하는 당뇨병 환자의 고통을 줄일 획기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변영재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은 피를 내지 않고 혈당을...

View Article


[과학에세이] 2022 노벨상의 의미: 고고학도 게놈과 함께

2022년 노벨생리의학상은 한마디로 ‘게놈’ 상이다. 수상자 스반테 파보 박사는 에스토니아 출신 과학자이다. 생화학과 분자생물학을 한 전형적인 게놈 학자이다. 많은 사람이 왜 노벨생리의학상을 파보 박사에게 줬는지 처음에는 놀랐을 것이다. 파보 박사는 고대 게놈을 연구한 인류학자이기 때문이다. 게놈 학자란 뜻은, 파보 박사가 DNA(게놈)를 중심으로 인류학...

View Article

산업공학과 학부생들, 금융 데이터사이언스 경진대회서 KB국민카드 대표이사상 수상!

UNIST(총장 이용훈) 산업공학과 학부생들이 지난 10월 13일(목) 금융 데이터사이언스 경진대회 FSI Data Challenge 2022에 출전해 ‘KB국민카드 대표이사상’을 수상했다. ‘FSI Data Challenge’는 금융보안원이 주최∙주관하고, 금융위원회와 국내 주요 금융사들이 후원해 개최되었다. 대회는 각 금융사들이 제공하는 금융, 유통,...

View Articl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현실 같이 생생하다!”… 초고해상도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눈으로 보는 것만큼 생생한 장면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나왔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를 이용해 고효율‧고화질 디스플레이를 구현한 것이다. 아주 얇고 유연해 웨어러블 기기나 모바일, 사물인터넷(IoT) 등에서 유용할 전망이다. 최문기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양지웅 DGIST 교수팀과 공동으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표면제어로 초고해상도 패터닝 기술’을...

View Article
Browsing all 2847 articles
Browse latest View l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