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UNIST News Center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847

보석보다 빛나는 화학자

$
0
0

1960년대 미국의 화려한 우주개발역사 뒤에는 숨은 인재들의 활약이 있었다. ‘흑인’과 ‘여성’이라는 이중고를 딛고 자기 몫을 톡톡히 해낸 세 여성과학자들이다. 이들의 이야기는 영화 <히든 피겨스>에 담겨 전 세계로 알려졌다. 이를 계기로 여성 과학자들의 역할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UNIST MAGAZINE에서도 과학자의 길은 선택한 멋진 여성들의 이야기를 준비했다.

HIDDEN FIGURES.3 문회리 자연과학부 교수

“여고생은 이과 비율이 낮지만, 전 망설임 없이 이과를 선택했어요. 물리가 너무 좋았거든요. 그런데 강의실보다 실험실에서 뭔가 만드는 게 좋더라고요. 대학에선 화학과로 갔고, 4학년 인턴 때 진행한 실험 이후 제 인생이 결정됐어요.”

그녀는 기체나 액체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나노다공성 금속산화물’의 합성법을 연구한다. 남편인 주상훈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와 함께 만든 다공성 마그네슘 산화물 합성법은 간단하고 저렴해 크게 주목받았다. 반응 효율도 좋아 기존 물질보다 이산화탄소 흡착력을 10배가량 높였다. 금속 다공성물질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큰 연구였다.

문회리 교수가 실험실에서 물질을 합성하고 있다. 문 교수는 자신의 손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어떤 보석보다 아름답다고 느낀다. | 사진: 안홍범

문회리 교수가 실험실에서 물질을 합성하고 있다. 문 교수는 자신의 손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어떤 보석보다 아름답다고 느낀다. | 사진: 안홍범

문 교수 부부는 UNIST에 오기 전에도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에서 남부럽지 않은 경력을 이어가고 있었다. 그런데 UNIST 채용설명회에 참가했다가 잘 갖춰진 연구 환경에 반해 한국행을 결심했다. 부부가 함께 연구할 기회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는 점도 한 가지 이유가 됐다.

“저희는 각자의 연구에 대해 자주 이야기를 나눠요. 서로 얘기하다 보면 각 생각들이 발전하면서 새로운 부분들을 발견하게 되는데요. 서로 접점을 갖고 연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 공동연구도 진행해요.”

환경 분야에 관심이 많은 문 교수는 앞으로 효율 좋은 이산화탄소 흡착체나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위한 수소 저장용 물질을 만드는 일에 매진할 계획이다. 국내에서 이 분야 가장 권위 있는 기관의 연구과제도 현재 수행하고 있다.

여성 과학자가 특별하지 않는 세상을 꿈꾸며

문 교수는 비교적 확신을 갖고 본인의 길을 걸어왔다. 하지만 다른 여자 후배들은 자신처럼 꿋꿋하진 못했다.

“굉장히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었는데도 ‘여자가 과학을 계속해서 어디다 쓰냐’ ‘박사가 돼서 뭐하냐’ 등의 이야기를 많이 듣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여학생들이 이런 일을 더 많이 겪는 것 같습니다.”

캠퍼스이슈_문회리-교수3

문회리 교수는 UNIST 여성과학기술인 총괄담당관이기도 하다. 기관 내 여성과학기술인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각종 지원활동을 주관한다. | 사진: 안홍범

사회 전반적으로 성차별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여성의 과학계 진출은 부족한 편이다. 특별한 제약이 없지만 앞서간 선배가 적다 보니 주춤하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문 교수는 “모든 학문 앞에 남녀는 평등하고, 여성도 충분히 새로운 연구에 도전하고 해낼 수 있다”며 “저나 강사라 교수, 최남순 교수는 그저 과학적 소질을 포기하지 않고 노력한 사람일뿐 특별한 여성이 아니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성실히 연구하고, 논문으로 결과를 증명하려 노력하는 사람들이다. 성별이 아닌 노력과 끈기가 훨씬 중요하다. 그녀는 “더 많은 여학생들이 과학자를 꿈꾸고, 과학적 소질을 발전시켰으면 좋겠다”며 “여성 과학자가 더 이상 특별하지 않은 세상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UNIST 히든 피겨스 셋은 ‘여성 과학자가 특별하지 않은 세상’을 위한 관심을 부탁했다. 결혼과 출산, 양육, 가사는 가족이 함께 분담하는 사회적 환경이 마련되면 여성 과학자의 삶도 나아질 것이다. ‘슈퍼우먼(super women)’이 아닌 평범한 여성이 당당히 과학자로 설 수 있는 세상이 오면 인류를 위한 과학기술도 더 빠르게 발전하지 않을까.


※ UNIST Hidden Figures  시리즈 바로 가기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2847

Trending Articles